금요 묵상
시편 132편에는 ‘다윗을 위하여’라는 표현이 두 번 나옵니다(1, 10절). 다윗의 이름은 네 번 나옵니다(1, 10, 11, 17절). 시편 132편을 누가 기록했는지 알 수 없지만, 다윗의 아들 솔로몬이 기록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시편 132편에 솔로몬의 글과 비슷한 글이 나오기 때문입니다(8절 vs 대하 6:41a; 10절 vs 대하 6:42).
2-5절에서 다윗은 ‘여호와의 처소 곧 야곱의 전능자의 성막을 발견하기까지’ 잠을 자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이 말은 하나님의 법궤 둘 곳을 마련할 때까지 잠을 자지 않겠다는 말인데, 그만큼 열심히 법궤 둘 곳을 찾아 마련하겠다는 말입니다. 6절에서 다윗은 “우리가 그것이 에브라다에 있다 함을 들었더니 나무 밭에서 찾았도다”라고 했습니다. ‘그것’은 법궤를 말하고 ‘그것이 에브라다에 있다 함을 들었다’는 말은 ‘그 말을 에브라다에서 들었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나무 밭에서 찾았다’는 말은 ‘야일의 밭에서 찾았다’는 말입니다. 법궤는 20년 동안 기럇여아림에 있었습니다(삼상 7:1-2).
7절은 다윗이 법궤가 있는 곳으로 가면서 한 말입니다. “그분 계신 곳으로 가자. 그 발 아래에 엎드려 경배하자”(7절, 새번역). 8절은 법궤를 옮기면서 한 말입니다. “주님, 일어나셔서 주님께서 쉬실 그 곳으로 드십시오. 주님의 권능 깃들인 법궤와 함께 그 곳으로 드십시오”(8절, 새번역). 9절도 법궤를 옮기면서 한 말입니다. 개역개정판 성경은 9절 말씀을 ‘제사장들’과 ‘성도들’(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한 말로 되어 있지만 다른 성경들은 하나님께 한 말로 되어 있습니다. “주님의 제사장들이 의로운 일을 하게 해주시고, 주님의 성도들도 기쁨의 함성을 높이게 해주십시오”(9절, 새번역).
건너뛰어서 13-14절입니다. “여호와께서 시온을 택하시고 자기 거처를 삼고자 하여 이르시기를 이는 내가 영원히 쉴 곳이라 내가 여기 거주할 것은 이를 원하였음이로다.” ‘시온’ 즉 예루살렘을 하나님의 도성으로 선택하신 분은 하나님인 것을 말씀하는 내용입니다. 예루살렘이 하나님의 도성인 이유는 예루살렘에 성전이 있기 때문입니다. 성전이 세워질 장소가 결정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역대상 21장 18, 26절, 22장 1절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루살렘에 대해 하나님은 ‘내가 영원히 쉴 곳’이라고 하셨는데, 그렇게 말씀하신 이유는 이 땅의 예루살렘이 영원히 있을 것이기 때문이 아니라, ‘새 예루살렘’에서 하나님과 하나님의 백성이 영원히 살 것이기 때문입니다(계 21:1-2).
15절에서 하나님은 예루살렘에 먹을 것을 풍족하게 주실 것을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은 천년왕국에서 이루어질 것입니다. 16절에서는 “제사장들로 의로운 일을 하게 하고, 성도들은 기쁨의 함성을 지르게 하겠다”(새번역)고 했는데 이 말씀도 천년왕국에서 이루어질 것입니다. 17절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내가 거기서 다윗에게 뿔이 나게 할 것이라 내가 내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위하여 등을 준비하였도다.” 이 말은 다윗의 자손 중에서 메시야(‘뿔’)가 나오게 할 것이고, 메시야를 위하여 등불이 꺼지지 않게 하겠다, 그의 통치가 계속되도록 하겠다는 말입니다. 이 말씀도 천년왕국에서 이루어질 것입니다.
시편 132편은 다윗이 법궤를 찾아서 다윗 성으로 옮겨오는 이야기로 시작해서 다윗의 후손 메시야가 만왕의 왕으로 오셔서(18절) 세상을 통치하실 이야기로 끝이 납니다. 다윗이 메시야의 조상이 되는 복을 받은 이유는 다윗이 누구보다 하나님을 사랑했고 누구보다 열심히 하나님을 예배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도 다윗처럼 하나님을 사랑하고 하나님을 예배하는 사람이 됩시다. 다시 오실 만왕의 왕, 만주의 주 예수님을 바라보면서.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