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ime
top of page
Pour tester cette fonctionnalité, accédez à votre site en ligne.
커뮤니티
새삶침례교회에 다양하고 새로운 소식을 신속히 전해드립니다.
공지게시판
새삶침례교회 새로운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24금요 묵상
금요 말씀을 묵상함으로 주님의 은혜를 경험합니다.
148밥상머리 가정예배
'밥상머리 가정예배'로 가정예배의 은혜를 누리세요.
38구역모임
'구역모임' 장소, 순서 참고하셔서 복된 교제 나누시기 바랍니다.
27주보
새삶침례교회 주일 예배 주보입니다.
173방송 설교/보도
방송 설교/보도 페이지입니다.
18
Nouveaux posts
- 금요 묵상이사야 63장 15절부터 64장 마지막 절까지에는 하나님께 ‘자비와 사랑’을 구하는 기도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기록한 사람은 이사야 선지자지만 기도의 내용은 유다 사람들이 나라가 망하고 난 뒤에 하나님께 드린 기도입니다. “시온이 광야가 되었으며 예루살렘이 황폐하였나이다… 우리의 거룩하고 아름다운 성전이 불에 탔으며 우리가 즐거워하던 곳이 다 황폐하였나이다”(64:10-11). 이사야 선지자는 유다가 멸망하기 100년 전에 사역을 했던 사람으로서 유다가 멸망하는 것을 못 보았는데 어떻게 이런 글을 쓸 수 있었을까요? 그 이유는 하나님의 감동(영감)을 받아 기록했기 때문입니다(벧후 1:21). 이사야 53장에 기록되어 있는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에 대한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유다에게 임한 비극이 오늘날 우리에게도 일어나지 않으려면 예수님 믿는 우리가 하나님을 잘 섬겨야 합니다. “너희는 예루살렘 거리로 빨리 다니며 그 넓은 거리에서 찾아보고 알라 너희가 만일 정의를 행하며 진리를 구하는 자를 한 사람이라도 찾으면 내가 이 성읍을 용서하리라”(렘 5:1). 한 사람의 신실한 그리스도인이 나라를 살릴 수 있다는 것을 알고 하나님을 더 잘 섬기는 우리가 됩시다. 유다 사람들은 하나님께 돌아와 달라고 애원합니다(63:17b). 하나님이 그들을 하나님의 길에서 떠나게 했고, 하나님이 그들의 마음을 완고하게 했고, 하나님이 그들로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게 한 것처럼 말하지만(63:17a) 사실은 유다 사람들이 스스로 그렇게 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그렇게 하도록 내버려두셨을 뿐입니다. 하나님은 오늘날에도 하나님 말씀 듣기를 거부하면 내버려두십니다(시 81:11-12, 롬 1:28). 그러나 사람들의 선택과 한 일에 대해서 반드시 심판하십니다(전 11:9). 유다 사람들은 바벨론이 하나님 두려운 줄을 모르고 유다를 멸망시켰으니 하나님께서 하늘을 가르고 강림하셔서 그들을 손봐 달라고 간구합니다(64:1-2). 그들의 기도를 들으시고 하나님은 바벨론 제국을 멸망시키십니다. 그 일을 위해 하나님은 바사(페르시아) 제국의 고레스 왕을 사용하셨습니다. “하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세상 모든 나라를 내게 주셨고 나에게 명령하사 유다 예루살렘에 성전을 건축하라 하셨나니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참 신이시라 너희 중에 그의 백성 된 자는 다 유다 예루살렘으로 올라가서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의 성전을 건축하라 그는 예루살렘에 계신 하나님이시라”(스 1:2-3). 고레스 왕의 말입니다. 고레스가 이 말을 하기 150년 전에 이사야 선지자는 고레스의 이름까지 언급하면서 고레스가 할 일을 예언했습니다(사 45;1). 유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지은 죄 때문에 하나님의 진노를 당해 고통당하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도 있었습니다(64:5). 자신들이 얼마나 추악한 죄인인지를 알고 있었고 죄 때문에 유다가 멸망한 것도 알고 있었습니다(64:6-7). 이것을 알면 구원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유다 사람들은 다시 자신들의 나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사람들이 멸망하는 것은 죄 때문입니다. 죄 때문에 사람은 죽는 것이고, 그 후에는 심판이 있는 것입니다(히 9:27). 죄와 사망의 권세로부터 구원받기 위해서는 내가 죄인인 것과, 예수님이 내 죄를 위해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셨고 다시 살아나신 것을 믿어야 합니다. 그렇게 할 때 사람은 구원받을 수 있고 영원한 천국의 소망을 가지고 살 수 있습니다.J'aime
bottom of page